728x90
DMZ
- DMZ : 네트워크의 완충지대로, 중요한 서버가 배치된 네트워크에 부정 통신이나 공격이 바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배치
- 사외용 서버 : DMZ 에 설치하는 서버
-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정보를 주고받는 서버 (웹 서버,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, DNS 콘텐츠 서버, 메일 서버, SSL 서버, FTP 서버 등)
- 사내용 서버 : 내부 세그먼트에 서치하는 서버
- DNS 캐시 서버, 파일 서버, 프린터 서버, 디렉터리 서버, 데이터베이스 서버, 그룹웨어 서버 등
서버 구축 방식
- 온프레미스형 : 조직 내 서버나 네트워크 등 정보 자산을 보유하고 운용하는 방법으로 자유도가 높음
- 클라우드형 : 컴퓨터 등 정보 자산이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는 방식
- SaaS (Software as a Service) : 서버 및 네트워크 같은 컴퓨터 자원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모든 것을 사업자가 관리하고 사용자는 이용만 하는 유형
-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: 컴퓨터 자원만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형
- PaaS (Platform as a Service) : SaaS 와 IaaS 중간에 위치한 유형으로 컴퓨터 자원 + OS/미들웨어를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형
- 하이브리드형 : 온프레미스형과 클라우드형을 결합해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
서버 가상화
- 가상화 : 물리 서버에 독립된 OS 와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켜서 가상 서버를 구축하는 기술
- 가상 머신 (게스트 OS) : 서버 가상화를 실현했을 때의 가상 서버, VM
- 물리 머신 (호스트 OS) : 서버 가상화를 실현했을 때 물리 서버
- 가상화 레이어 : 서버 가상화를 실현하는 가상화 소프트웨어
- 호스트형 : 물리 서버의 OS 상에 가상화 소프트웨어가 작동하고 그 위에 가상 머신을 구축하는 유형
- 손쉽게 가상 환경 이용
- 매번 호스트 OS 를 거쳐야 하므로, 오버헤드 때문에 성능이 저하시 모든 가상머신에 영향, 호스트 OS 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동작 불안정
- 하이퍼바이저형 : 물리적 서버에 직접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그 위에 가상 머신을 구축하는 유형
- 가상화 소프트웨어 자체가 OS 라고 할 수 있음
- 호스트 OS 를 거치지 않으므로 오버헤드가 적음
- 모놀리식 커널형, 마이크로 커널형이 있음
서버 컨테이너
- 서버 컨테이너 : 물리 서버의 OS 상에 컨테이너 엔진이 동작하고 그 위에 컨테이너를 구축
- 서버 가상화와의 차이점 : 게스트 OS 탑재 여부 → 컨테이너는 OS 를 탑재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빠름
서버 OS
- 서버 OS : 하드웨어를 조작하는 소프트웨어 중 클라이언트 OS 보다 안정적으로 가동하는 OS
- 장시간 안정적으로 가동
- 동시접속 가능
- 유지보수가 쉬움
- 윈도우 계열 OS / 리눅스 계열 OS
728x90
'Web |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내부용 서버 (DB, DHCP, DNS 캐시, 파일, 프린터) (2) | 2025.03.20 |
---|---|
[Network] 외부용 서버 종류 (웹, DNS, 메일, FTP) (2) | 2025.03.19 |
[Network] CDN (Content Delivery Network) 과 캐싱 (0) | 2025.03.17 |
[Network] REST API vs SOAP vs WebSocket vs gRPC (1) | 2025.03.16 |
[Spring] Cookie 와 ResponseCookie (0) | 2025.03.15 |